목록사주명리 글 (12)
Zoe
오로지 내 사주를 스스로 풀어 보겠다는 일념으로 몇 달간 유튜브에서 여러 강의들을 들어 봤다.유튜브 명리학 강의를 다 들어 본 건 아니지만 접한 것 중 배울 만한 채널을 몇 개 추렸다.처음엔 내 일주 위주로 임술일주 설명을 해 주는 강의를 찾았고, 갑술명리학연구소(안태옥)와 피클명리와 여러 채널을 들었다.갑술명리학연구소 www.youtube.com갑술의 경우 전문가다운 꼼꼼함과 야무짐이 특징이다. 초보 눈높이에 맞춰 주려는 친절함이 있고, 쪽집게 강의형, 명리계에서 보수 쪽에 가까워 보인다.카페도 카테고리가 굉장히 정리가 잘 돼 있어서 명리 책을 보는 듯하다. 피클명리피클의 행복한 명리www.youtube.com피클명리는 최근 책을 펴내셨는데, 푸근한 사투리와 좋은 인상으로 사람을 편안하게 해 주어서 팬..

조용히 여름휴가를 보내면서, 미루던 건강검진도 받고 잠도 내키는 만큼 자고 마음도 닦고 집안을 정리하고 있다. 문득 "나는 떠난 적 없는데 왜 내가 떠났다고 생각하는가?"라고 그들에게 묻고 싶던 5년 전이 떠올랐다. 그리고 경계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많은 이와 달리 나는 스스로 옷을 벗어 던지고는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며 세상에서는 이름할 수 없는 존재로 6년 가까이 지내 왔음을 알게 됐다. 십이운성으로 보면 내 사주는 연월일시 관대/관대, 목욕/건록, 관대/관대, 병/장생이다. (총명하며 인기 좋고 힘 있는 당찬 사주지만 늘 따라오는 말이 '결혼에 불리하다'다.) 청장년기를 나타내는 월주(月柱)가 목욕(건록)인 것이 내가 스스로 옷을 벗어 던진 (자수성가) 기질을 나타낸 것인가. 대학교 이후에..

역학의 심오한 학문적 이치를 깨우친 다수의 역술인은 양심적으로 사주 상담을 하지만, 상담 실력을 신뢰할 수 없는 자격 미달의 역술인이 늘어나면서 그로 인한 폐해가 심각해지고 있어 문제다. 우선 사주 상담이 필요한 이에게 도움이 되도록 사이비 역술인을 구별하는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상담자의 사주를 제대로 보지 않고 조상 탓만 하는 역술인은 십중팔구 사이비다. "조상이 가로막아서 되는 일이 하나도 없어...." "조상 중에 객사한 사람이 있어...." 이렇게 말하는 경우다. 사실 우리 나라에서 객사한 조상이 없는 집이 몇이나 되겠는가? 역술인이나 무속인을 찾는 사람들 중 대다수가 답답한 현실에서 바늘구멍만 한 희망이라도 찾고 싶은 마음에 상담을 의뢰한다. 그런데 사이비 역술인들이 조상 탓을 하면서..

운명학에 대한 일반인의 가장 큰 오해는 '운명'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비롯한다. 사전을 보면 운명을 '인간을 지배하는 필연적이고 초월적인 힘, 또는 그 힘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길흉화목. 타고난 운수나 수명'이라고 써 있다. 이런 이유로 우념ㅇ을 고정불변, 한 치의 빈틈없이 태어나면서 정해진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운명이란 단어는 움직일 운運, 목숨 명命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운명은 삶을 변화시킨다, 목숨을 변화시킨다, 삶을 움직인다는 뜻이다. 따라서 운명은 결코 타고난 삶 그대로 살아 간다는 뜼이 아니다. 이와 같은 운명의 뜻에 맞춰서 운명학의 정의를 다시 내려야 한다. 운명학은 타고난 운명을 알아보는 학문이 아니라 인간 삶의 변화를 예측하는 학문이다. 어떠한 노력으로도 삶을 변화시킬 수 없다면 역학..

사주명리학에는 여러 학파가 있고 다양한 학설이 있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사주명리학자를 통해 사주명리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자. 1) 송나라 서자평 : 태어난 해(연주) 중심의 사주명리학을 태어난 날(일간) 중심의 사주명리학으로 바꾸어 놓은 인물이다. 현대 사주명리학의 토대를 이루는 일간 중심의 사주명리학을 정립하였다. 이후 연구를 계속하여 와 비결집 을 합본한 을 저술했다. 이 책의 영향으로 일간을 기준으로 운명을 예측하는 방법을 자평명리학이라고 부른다. 은 격국론格局論, 신살론神殺論, 시결론 등을 방대하게 수록하고 있는 사주명리학의 고전으로서 사주명리학에 입문한 사람은 꼭 읽어야 할 책이다. 2) 명나라 유백온 : 명나라 때에는 많은 학자가 등장해 사주명리학의 이론적 기틀을 확고하게 다졌다. 그중 명나..

역학의 정의 역학은 즉 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은 음양의 원리로 천지만물이 변화하는 현상을 설명하고 해석하는데, 여기서 역은 '바뀔 역' '쉬울 이'의 뜻을 모두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역이란 쉽게 바꾸는 것, 즉 변화를 뜻한다. * : 또는 단순히 이라고 한다. 8괘와 64괘 그리고 괘사, 효사, 십익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교의 경전으로 손꼽히며, 인간의 운명을 점치는 점복술의 원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을 연구하는 역학은 모든 것은 바뀐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변화의 이치를 찾는 학문이다. 역학은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동양학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칠 만큼 그 범위가 매우 방대하다. 역학 중에서 우주와 세상의 이치를 사람의 삶에 한정시킨 것이 운명학이다. 역학이 을 바탕으로 하여 우주..

혼돈왕이 살아 있을 때는 남쪽(불)과 북쪽(물)의 가운데에서 둘을 중재하는 '혼돈'이라는 개념이 있었다. 불과 물이라는 서로 공존할 수 없는 극단적인 요소들이 혼돈왕이라는 중간적인 존재로 인해서 순탄하게 공존했다. 그러나 혼돈왕이 사라지자, 이때부터 남해왕과 북해왕은 처절하게 전선을 맞대고, 죽느냐 사느냐의 게임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른바 음양이라는 개념이 출현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혼돈왕에게) 구멍을 뚫지 않고 그대로 놔뒀으면 되는 것을 더 좋게 한다고 구멍을 한 개씩 뚫는 바람에, 다시 말해, 우주가 이미 부여한 질서를 인위적으로 바꾸려고 하는 바람에 혼란과 갈등이 시작됐다는 뜻이 숨어 있다. 우리가 지금 있는 이곳을 '정의'라고 규정하는 순간, 그 공간을 제외한 곳은 '부정의'가 되어버린다. 이..

어릴 때 집에 사주팔자와 이름점 보는 책이 있어서 탐구정신 강한 나는 나름대로 그 내용들을 검증해 보려고 자주 들여다봤다. 거기다 별자리 운세까지 해서 '운세'라는 것이 정말 맞는지 궁금했고, 달력 일자에 적힌 60갑자의 두 조합 및 띠들을 보면 저게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알고 싶었다. 하지만 초등학생 아이가 매일같이 학교 다니는 일상을 지내는데, 매일의 운세가 크게 검증 거리가 되지도 않고, 인생을 더 살아 보지 않는 이상 사주가 맞는 건지 아닌 건지 알 수 없단 생각에 책을 덮었다. 그리고 이후에도 자기 운명에 대한 개척 정신이 강한 나는 사주 명리학을 가까이하는 일이 없었다. 그러던 중 30대 후반이 되어서 어쩌다 명리학을 검증해 보는 시간들을 보내고 있는데, 대체로 맞는 것도 어쩌다 맞은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