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신분석 글 (15)
Zoe

제5장 개인이 삶을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은 무엇보다도 창조적인 통각이다.(여기에서 말하는 통각이란 전체 인격이 참여하는 경험적인 깨달음을 뜻한다. 통각(apperception)과 달리 지각(perception)은 방어적인 형태의 지적 활동을 지칭한다.) 순응은 개인에게 헛된 느낌을 가져다 주고, 중요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과 삶은 살 만한 가치가 없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우리의 이론은 창조적인 삶이 건강한 상태이고, 순응은 병적인 삶의 기초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우리가 건강과 분열적 상태 또는 건강과 중증 정신분열 사이에 임상적으로 완전히 구분짓는 선을 긋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분열성 인격을 가진 사람들은 무언가 잘못되었고 인격 안에 해리가 있다는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단..

제2장 꿈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데 있어서의 중심적인 단어는 "형태 없음"이다. 무엇보다도 형태 없음으로부터 무엇인가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느끼게 하는 희망이 중요하며 그것은 자신의 분석가에 대해 가지는 신뢰로부터 나온다. 제3장 심리치료는 환자와 치료자의 두 놀이의 영역이 겹치는 곳에서 발생한다. 심리치료는 함께 놀이하는 두 사람에 관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놀이가 가능하지 않은 곳에서의 치료자의 작업은 환자를 놀이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놀이할 수 있는 상태로 데려오는 것이다. 각 개인의 어린 시절에 자신의 마술적 통제 바깥에 있는 진실로 외부적인 것으로 인정해야 하는 세계가 있는데, 처음에 그 세계는 나-아닌 세계로 거절된다는 것이다. 외부의 사물을 통제하기 위해서 그는 어떤 것들을 행해야 하며, 무엇..

중간현상과 중간대상이 포함하는 내용들 1. 대상이 지닌 성질 2. 대상을 "나-아닌"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유아의 능력 3. 대상이 위치한 장소 - 바깥 세계, 환상영역, 경계선 4. 대상을 창조하고, 생각해 내고, 고안하고, 생겨나게 하고, 산출해 내는 유아의 능력 5. 다정스런 형태의 대상관계의 시작 자신의 안과 밖을 가지는 모든 사람에게는 하나의 내적 실재, 즉 내면세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인간 삶의 제삼의 부분은 경험이 발생하는 중간영역으로서, 내적 실재와 외적 삶 모두가 이 영역을 위해 공헌한다. 이 영역은 도전받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내적 실재와 외적 실재 사이의 분리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서로 관련시켜야 하는 항구적인 인간의 과제에 참여하고 있는 개인을 위한 쉼의 장소로 존재..

탈인격화(내가 바깥에 나가 있는 것 같은)와 비현실화(현실 같지 않은)와 같은 뚜렷한 정신병적 증세뿐만 아니라 진짜 같지 않은 감정(자신에 대해서 낯선 느낌을 갖거나 낯선 것에 대해 친숙한 느낌을 갖는)과 같은 비교적 경미하거나 일시적인 현실감의 장애들도 본질적으로 분열성 현상에 속한다. 낯선 것에 대해 친밀하게 느끼는 증상과 유사한 것으로서 기시증(데자뷰)을 들 수 있다. 이 흥미로운 현상은 분열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몽유병, 기억상실증, 이중인격, 다중인격 등이 기본적으로 분열성 현상에 속한다.(Janet, William James, Morton Prince) 그리고 히스테리 환자에게서 관찰한 해리 현상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 대한 기술과 같은 것이었다. 이 사실은 히스테리 성격은 항상 ..

클라인 학파의 연구가 주는 매력은 그것이 우리의 일상적인 경험으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경험 형태를 맛볼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이다. 그것의 많은 부분이 ‘정신증’ 환자들의 연구에서 온 것이다. 클라인학파 학자들 사이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아래에 여러 마음의 층들이 있다는 진정함 믿음을 공유한다. (유아의 삶의 과정에서 그 최초의 정신 층은 발달의 진행과 함께 사라져 버렸다.) 우리는 더 이상 히스테리, 강박증 등으로 진단하지 않는다. 클라인학파 학자들에게 있어서 정신 과정의 세계는 이런 원시적 수준의 정신 층에 대한 이해를 통해 끊임없이 재정의 되고 있다. .... 원칙적으로 적어도 개인의 주관적 경험이 보다 일반적인 패턴과 성향을 가져서 안 될 이유가 없다. 그러나 주관적 자료를 통합하는 문..

클라인은 질투(jealousy), 시기심(envy), 탐욕(greed)을 조심스럽게 구분했다. 시기심은 질투보다 더 원초적인 것이다. 시기심은 순전히 파괴적이고, 사랑과 존경의 대상을 겨냥한다. 질투는 오이디푸스적 삼자관계에 속한 좀 더 섬세한 감정으로서 사랑에 근거하고 있으며, 경쟁자에 대한 증오는 욕망의 대상에 대한 사랑으로 작용한다. 질투는 고상한 것일 수도 있고 비열한 것일 수도 있는 반면 시기심은 언제나 비열하다. 탐욕 또한 시기심과 구분되어야 한다. 탐욕은 대상이 지니고 있는 풍부한 모든 것을 소유하려고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탐욕으로 인한 손상은 의도적인 파괴의 결과가 아니다. 그러나 시기심의 직접적인 목적은 대상의 속성을 파괴하는 것이다. 시기심을 유발하는 속성이 파괴되면 더 이상..
부서명정신건강과 작성자담당자 등록일2002-11-12 정신분열병(조현병)은 어떻게 치료합니까? 1. 약물치료 가장 기본적인 것은 약물치료입니다. 환자 본인이 스스로 약을 꾸준히 복용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 정신치료 정신치료를 함께 합니다. 즉 환자가 약을 잘 복용 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시키며, 마음의 갈등과 사회생활에서 오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환자가 해결할 수 있도록 치료자가 정성를 다해 돕는 일입니다. 3. 재활치료 음악치료, 운동치료, 환경요법, 그림 그리기, 인지훈련, 대인관계를 돕는 훈련, 작업치료, 직업훈련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사회적응을 도와줍니다. 4. 입원치료 필요하다면 적절한 기간동안 입원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5. 통원치료 퇴원한 후에는 통원치료를 계속 받..
히스테리란 의학적 검사를 했지만 증상에 관해 아무런 신체적 이상이 드러나지 않았고 심리적으로 정신적 스트레스, 갈등, 관심 추구 등을 드러낸다는 말이다. DSM-4에서는 히스테리는 신체화 장애라는 명칭으로 통용된다. 신체화 장애에는 신체화 장애 외에도 통증 장애, 전환 장애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신체형 장애들의 공통적 특성은 신체적인 이유로 병을 앓는 것 같지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꾀병과 달리 신체 증상이 환자의 의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신체화 장애는 통증, 소화기 계통 증상, 성적 증상 그리고 신경과 증상과 유사한 증상들이 합쳐진 복합 증세들이 30세 이전에 시작되는 것이다. 진단 기준으로서 적어도 몸이나 기능의 네 군데 이상에서 통증이 따라야 한다. 또한 둘 이상의 소화기 계통 증상이..
히스테리의 정신 병리를 결정하는 데 외부적 사건이 큰 작용을 한다. 외상성 히스테리의 경우 분명히 특정 사건들이 증세를 야기한다. 매우 다양한 종류의 신경통과 신경마비 경직과 마비, 히스테리 발작, 간질성 경련, 간질 소발작과 틱의 성질을 띠는 장애들, 만성 구토와 거식증, 여러 형태의 시각 장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시각적 환영 등이다. 우리가 외상에 의한 신경증 환자들을 보면, 히스테리 증상이 수년간 지속되는 데 반해, 증상들을 유발한 사건은 단지 한 번밖에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게 된다. 유발 사건은 어린 시절에 경험한 사건인 경우가 많은데 이런 사건들이 심한 증세들을 촉발하고 그 증세를 수년간 지속시킨다. 촉발 원인과 병리 현상 간에 단지 '상징적' 관계라고 할 수 있는 것만 존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