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신분석 (24)
Zoe
정신분열증 환자들 안에서 초기 공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심리학적인 과정들이 발견되었다. 이 사람들은 억압 때문에 고통받는 것으로 보이지 않았다. 그들 중 일부는 분석가에게 그들의 무의식에 대해 분석가가 그들에게 말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말할 수 있었다. 수년 간의 치료 후에 갑작스러운 정신증적 상태로의 재발도 보고되었다. ... 왜 그들은 접촉의 밖에 머물렀는가?(프로이트) 아브라함에 따르면, 현저한 증상이 없는 사람부터 심한 질병의 가장 후기 상태에 이르기까지, 병원에 입원한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서적 삶의 차이는 정도의 문제다. 질병의 모든 형태에 있어서 공통 요소는 "성적 전이 또는 대상 사랑에 대한 능력"이 파괴되었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사람들은 "외부 세계에 자신의 리비도를 전이시킬 수..
1911년 위겐 블로일러는 "과정과 심각성에서 높은 변수를 가지고 있지만, '다른 곳에서는 전혀 관찰할 수 없는 특정 종류의 사고, 감정, 외부 세계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왜곡'으로 특징지었다." 이런 왜곡에는 정신 기능의 "분열"이 나타났기 때문에, 그는 이 질병에 대해 그리스어 schizein(분열)과 phren(정신)에서 기인한 schizophrenia라고 이름 지었다. ... 칼 메닝거는 지적하기를: "정신분열증의 대다수 사례가 회복되지 않는 것은 사실이지만, 많은 사례가 회복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 끔찍한 질병이 빠르고 숙련된 치료를 받는다면 희망이 없는 것이 절대 아니라는 것이 널리 인정된다는 사실에 대해 기쁘게 말할 수 있다." ... 이런 환자들과 작업하는 임상가는 관계를 맺는 동안 ..
정신분석 60회기에 처음으로 분노로 비난을 쏟았다. 대상은 분석가가 아니라 수퍼바이저였지만 공격성이 건드려진 건 처음이었다. 그날 밤 꿈에서 나는 양치하고 있었다. 그러다 멈추고 거울로 입 안을 들여다봤는데, 새끼 바퀴벌레 하나가 왼쪽 어금니 아래 잇몸에서 기어 나오고 있었다. 그리고 오른쪽 목구멍 쪽을 보니 새끼 바퀴벌레 3마리가 더 기어 나오고 있었다. '이게 뭐지? 내 목구멍에 바퀴벌레 알이 있었나?'라고 생각하고 깼다. 며칠 뒤 꿈에서 조선시대 같은 때에 두 노비와 한 아씨가 같은 흰 한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 보였고, 한 노비는 덜 떨어진, 한 노비는 충직한 사람이었다. 그런데 덜 떨어진 노비가 뜬금없이 아씨를 외딴곳으로 납치했다. 충직한 노비가 달려와서 아씨를 구해 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고 ..
정신분열증은 주요 증상의 유형에 따라 양성 증상(positive symptom)과 음성 증상(negative symptom)으로 구분한다. 망상, 환각, 사고 장애, 와해된 언어나 행동을 보이는 양성 증상은 일반인에게 없는 사고와 행동적 특성이 나타나거나, 일반인에게도 나타나는 특성이지만 일반인보다 다양하고 강력하게 나타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이다. 반면 언어의 빈곤, 정서적 둔마(鈍痲), 은둔과 사회적 고립, 부정적이고 거부적인 행동, 이상한 자세, 의욕과 의지 상실, 즐거움이나 쾌락을 느끼지 못하는 등의 음성 증상은 일반인에게 보통 나타나는 사고와 행동적 특성이 정상적인 수준보다 부족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심리학용어사전, 20..
돈 없이 이사 다니며 책 때문에 고생한 기억이 많아서 가능한 책은 중요한 것 빼고 다 팔았다.책장에는 영성, 정신분석, 철학, 성경 관련 책 외에 교양 서적만 남았다.하나하나 싸면서 다시 한번 정말 필요한 책인가, 파는 게 어떨까, 굳이 가져가야 하나 생각했는데,결국 원래 팔려고 내놨던 책들 외엔 다 싸게 되었다. 지금 나와 새 집으로 같이 갈 책들은 크게 칼 융, 정신분석, 켄 윌버, 떼이야르 샤르댕, 매튜 폭스 그리고 중세 신비문헌, 끌레르보 베르나르, 아빌라 데레사, 십자가의 요한, 아시시 프란치스코, 로욜라 이냐시오, 영적지도, 영성신학, 현대 영성가, 번역본 다른 성경, 성경 주석, 렉시오 디비나, 중국철학, 교양 고전이다.다 쉽게 읽을 수 없는 책들이고 아직 읽지 못한 책도 많지만, 그중 추천..
내가 경험한 불가항력적인 가장 강력한 방어기제는 잠이다. 일어나는 상황들을 내가 어찌할 수 없고 사람들을 내가 어떻게 해 줄 수 없을 때, 그리고 거기서 불화와 갈등이 계속되기만 할 때 나는 깨어날 수 없는 잠 속으로 삼켜지듯 잠을 잔다. 그건 내 무능력함에 대한 큰 저항일 수도 있고, 마주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 회피하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내 의지보다 더 앞서는 이 방어에 대해 고민하자 선생님은 어린아이들도 힘들면 잠을 잔다고 하셨다. 잔다는 건 결국 갓난아기 때나 자궁 속에서 외부세계에 대한 의식이 거의 없던 태아 때로 퇴행하는 상태 같았다. 잠으로 빠지지 않으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하냐는 물음에 선생님은 용기를 내 보는 게 어떻겠냐고 하셨다. 그 한마디에 나는 그제서야 그 전 오랜 잠에서 깨어..